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7장. 오류 처리
#clean_code
2년 전
660


TIL (Today I Learned)

2022.03.02

오늘 읽은 범위

7장. 오류 처리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 오류가 발생하면 예외를 던지는 편이 낫다. 그러면 호출자 코드가 더 깔끔해진다. 논리가 오류 처리 코드와 뒤섞이지 않으니까..

    (p.131)

  • 실제로 외부 API를 사용할 때는 감싸기 기법이 최선이다. 외부 API를 감싸면 외부 라이브러리와 프로그램 사이에서 의존성이 크게 줄어든다. 나중에 다른 라이브러리로 갈아타도 비용이 적다. 또한 감싸기 클래스에서 외부 API를 호출하는 대신 테스트 코드를 넣어주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기도 쉬워진다.(p.137)

  • 이를 특수 사례 패턴SPECIAL CASE PATTERN2이라 부른다. 클래스를 만들거나 객체를 조작해 특수 사례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클라이언트 코드가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클래스나 객체가 예외적인 상황을 캡슐화해서 처리하므로. (P.138)

  • 위에서 getEmployees는 null도 반환한다. 하지만 반드시 null을 반환할 필요가 있을까? getEmployees를 변경해 빈 리스트를 반환한다면 코드가 훨씬 깔끔해진다. (P.140)

  • 대다수 프로그래밍 언어는 호출자가 실수로 넘기는 null을 적절히 처리하는 방법이 없다. 그렇다면 애초에 null을 넘기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정책이 합리적이다. 즉, 인수로 null이 넘어오면 코드에 문제가 있다는 말이다. 이런 정책을 따르면 그만큼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를 확률도 작아진다. … 오류 처리를 프로그램 논리와 분리하면 독립적인 추론이 가능해지며 코드 유지보수성도 크게 높아진다.(p.142)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예외처리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막막할 때가 많았는데, 대략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줘서 유용하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