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 Clean Code] 7장. 오류 처리
#clean_code
2년 전
708
1

오늘 TIL 3줄 요약

  • 깨끗한 코드는 읽기도 좋아야 하지만 안정성도 높아야 한다.

  • null은 신중하게! 주의를 기울여서!

  • 오류가 발생하면 예외를 던지는 편이 낫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03.04

오늘 읽은 범위

7장. 오류 처리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오류 처리 코드로 인해 프로그램 논리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면 깨끗한 코드라 부르기 어렵다.(130p)

  •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 Try-Catch-Finally 문부터 작성하라

    • 먼저 강제로 예외를 일으키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 후 테스트를 통과하게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try 블록의 트랜잭션 범위부터 구현하게 되므로 범위 내에서 트랜잭션 본질을 유지하기 쉬워진다.(133p)

  • 미확인 예외를 사용하라

  • 예외에 의미를 제공하라

    • 예외를 던질 때는 전후 상황을 충분히 덧붙인다. 그러면 오류가 발생한 원인과 위치를 찾기가 쉬워진다.(135p)

  • 호출자를 고려해 예외 클래스를 정의하라

    • 외부 api를 사용할 때는 감싸기 기법이 최선이다.(137p)

  • 정상 흐름을 정의하라

  • null을 반환하지 마라

    • 실상은 null 확인이 너무 많아 문제다. 메서드에서 null을 반환하고픈 유혹이 든다면 그 대신 예외를 던지거나 특수 사례 객체를 반환한다.(139p)

    • java의 Collections.emptyList(); (140p)

  • null을 전달하지 마라

  • 깨끗한 코드는 읽기도 좋아야 하지만 안정성도 높아야 한다.(중략) 오류 처리를 프로그램 논리와 분리해 독자적인 사안으로 고려하면 튼튼하고 깨끗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142p)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평소 로직과 뒤섞여있는 오류 처리 때문에 분석이 어려웠던 경험을 자주 하였다. 그로 인해 어떻게 하면 오류처리를 더 나은 방법으로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종종 하곤 했는데, 이번 챕터를 읽으며 조금이나마 방향성이 잡힌듯하다.
    "오류 처리를 프로그램 논리와 분리하면.." 이라는 문장을 읽고 머리가 띵했다. 이때까지 주먹구구식으로 처리를 해왔던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며 반성을 하게 되었다. 이 문장을 계기로 오류 처리를 필요로 할 때 조금이나마 더 신중하게 처리를 할 수 있을 것, 그리고 기존에 뒤섞여 있던 오류처리를 어떻게 개선해나갈지 하는 기대감이 생겼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TDD..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얘기도 많이 들어보고, 정말 기본적으로 접해본적은 있지만 깊게 배워본적이 없어서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