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Dayliter - 데이터와 AI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side_projects
2개월 전
407
3
  • (현재 회원가입기능 및 MVP기능을 샘플로 구현했으나 아직 교안작업 및 영상촬영이 다 되지 않아 MVP는 최종적으로는 못올렸고, 회원가입기능은 구현했으나 교안작업이 완성된 이후 잠시 회원가입기능을 빼고, 유저반응을 바로 보려고 합니다.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 Dayliter는 데이터와 AI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상승을 목표로 하는 현대적인 교육 플랫폼입니다. 복잡한 데이터 과학과 AI 개념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Day + Lighter'의 합성어로, 매일 조금씩 데이터 리터러시를 밝혀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단계별 학습이 가능한 종합적인 교육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 제목: Dayliter - 데이터와 AI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 최종 배포 URL: https://www.dayliter.ai.kr/

    • 깃허브 링크: https://github.com/happydata1510/dayliter

    • 프로젝트 설명: 나만의 데이터 / AI 강의서비스 구축

    • 핵심 기능(MVP) 설명: 강의 및 블로그, 뉴스레터 발행

    • 관련 스크린샷(3장 이상):


    • 개발 기술/스택:

    • 메이커 클럽을 진행하며 느낀 점과, 다른 메이커들을 위한 팁:

    • 💭 느낀 점

      1. MVP의 중요성을 체감

      처음에는 완벽한 기능을 모두 구현하려 했지만, 핵심 기능에 집중하여 빠르게 MVP를 완성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었습니다.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며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이 올바른 방향이었습니다.

      2. 기술 스택 선택의 중요성

      React 19 + TypeScript + Vite 조합은 개발 속도와 성능 모두를 만족시켜주었습니다. 특히 Vite의 빠른 HMR과 TypeScript의 타입 안전성이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3. 사용자 경험(UX)의 우선순위

      기술적으로 복잡한 기능보다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더 중요했습니다. Tailwind CSS와 Radix UI 조합으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 다른 메이커들을 위한 팁

      1. 빠른 프로토타이핑을 위한 도구 활용cript 

      • Vite는 개발 서버 시작이 매우 빠르고 HMR이 뛰어남

      • TypeScript는 초기 설정 비용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개발 효율성 증대

      2.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 shadcn/ui 같은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활용

      • 일관된 디자인 토큰(색상, 간격, 타이포그래피) 정의

      3. 데이터 관리 전략

      • 초기에는 로컬 JSON 파일로 시작하여 빠른 개발

      • 점진적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4. 배포 자동화 설정

      el과 GitHub 연동으로 푸시할 때마다 자동 배포

      # package.json의 build 스크립트만 정의하면 됨

      • GitHub과 Vercel 연동으로 푸시 즉시 배포

      • 환경변수는 Vercel 대시보드에서 관리

      5. 반응형 디자인 우선

      • 모바일 환경을 먼저 고려한 설계

      • 터치 인터페이스와 접근성 고려

      6. 🧪 점진적 기능 개발

      • 핵심 기능부터 구현 (강의 목록 → 상세 페이지 → 실습 환경)

      •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며 우선순위 조정

      • 완벽하지 않아도 배포하여 실제 사용 패턴 파악

      마지막으로, 메이커 클럽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동기부여와 피드백을 제공해주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다른 메이커들의 프로젝트를 보며 영감을 받고, 서로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매일 조금씩, 데이터 리터러시를 밝혀나가는 여정" - Dayliter

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