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TIL (Today I Learned)
// 2022.02.23
오늘 읽은 범위
3장 함수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목록 3-2도 너무 길다!
-> ???? 3-2도 나름 잘 줄였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나??
함수는 한 가지를 해야한다. 그 한 가지를 잘 해야한다.
함수의 인수는 무항이 이상적이다.
-> 현장 와보니 무항은 커녕.. 3항 4항.. 함수들이 즐비하다. 리팩토링이 필요한걸까..
최대한 인수를 적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코드를 구현하자.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함수는 하나의 역할을 잘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고, 내가 구현한 함수는 과연 작성된 함수의 이름처럼 그 동작을 명확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다시금 확인해야할 것 같다.
최대한 코드를 가독성, 가시성이 좋게 구현해야겠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오류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 책의 예시 언어는 자바여서 예외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예외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언어에선 어떻게 구현할까?
대충 구글링 해본바로는 타입스크립트나 파이썬에도 예외라는게 있는 것 같긴한데, 자바와 비슷하려나?
어떤 기능이 동작하는 코드를 함수(메소드)로 분리 했을 때, 어느 레벨까지 분리를 해야할까?
분리한 함수를 그냥 호출하는 함수 밑 라인에 그대로 놓는게 좋은가? 아님 별도 유틸클래스로 관리하는게 좋은가? 책의 내용을 최대한 수용하고자 하니 아직 경험부족이라 어느정도 까지 발라내야할지 감이 안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