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TIL (Today I Learned)
2022.03.01
오늘 읽은 범위
6장. 객체와자료구조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추상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클래스이다. (p.119)
개발자는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야한다. 아무생각없이 조회/설정 함수를 추가하는 방법이 가장 나쁘다.(p.119)
객체 지향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은 절차적인 코드에서 쉬우며, 절차적인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은 객체지향 코드에서 쉽다. (p.122)
자료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다. 이런 자료구조체를 떄로는 자료전달객체DTO라 한다. (p.126)
어떤 시스템을 구현할떄, 새로운 자료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가 더 적합하다. 다른경우로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자료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하다.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편견없이 이 사실을 이해해 직몀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p.128)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절차지향에서 쉽게되는부분이 객체지향에서 어렵고, 객체지향에서 쉽게되는 부분이 절차지향에서 어렵다는 내용을 쉽게 알게되었다. 객체와 자료구조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더 공부해야겠다고 깨달았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객체는 객체지향적설계이고, 자료구조체는 절차지향적설계인지..? 정확하게 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