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CLASS
#clean_code
2년 전
615
1

오늘 TIL 3줄 요약

  • 클래스의 크기는 무조건 작아야 한다.

  • 클래스 이름 기술을 위한 책임이나, 모듈 변경 사유는 단 하나뿐이어야 한다.

  • 깨끗한 시스템은 클래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변경으로 인한 위험을 낮춘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03.09

오늘 읽은 범위

10장 클래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캡슐화를 풀어주는 결정은 언제나 최후의 수단이다.

  • 클래스를 만들때 첫번째 규칙은 크기다. 클래스는 작아야한다. 두번째 규칙도 크기다. 더 작아야 한다.

  • 클래스 이름은 해당 클래스 책임을 기술해야 한다. 실제로 작명은 클래스 크기를 줄이는 첫번째 관문이다. 간결한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필경 클래스 크기가 너무 커서 그렇다. 클래스 이름이 모호하다면 필경클래스 책임이 너무 많아서다.

  • 단일책임원칙은 클러스나 모듈을 변경할 이유가 하나, 단 하나뿐이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SRP는 '책임' 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며 적절한 클래스 크기를 제시한다. 클래스는 책임, 즉 변경 할 이유가 하나여야 한다는의미다.

  • 책임, 즉 변경할 이유를 파악하려 애쓰다 보면 코드를 추상화하기도 쉬워진다. 더 좋은 추상화가 더 쉽게떠오른다.

  • SRP는 객체지향 설계에서 더욱 중요한 개념이다. 또한 이해하고 지키기 수월한 개념이기도 하다.

  • 소프트웨어를 돌아가게 만드는 활동과 소프트웨어를 깨끗하게 만드는 활동은 완전히 별개다. 우리들 대다수는 두뇌 용량에 한계가 있어 ‘깨끗하고 체계적인 소프트웨어’보다 ‘돌아가는 소프트웨어’에 초점을 맞춘다. 전적으로 올바른 태도다. 관심사를 분리하는 작업은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활동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 “도구 상자를 어떻게 관리하고 싶은 가? 작은 서랍을 많이 두고 기능과 이름이 명확한 컴포넌트를 나눠 넣고 싶은가?

  • 아니면 큰 서랍 몇 개를 두고 모두를 던져 넣고 싶은가?”

  • 규모가 어느 수준에 이르는 시스템은 논리가 많고도 복잡하다. 이런 복잡성을 다루려면 체계적인 정리가필수다. 그래야 개발자가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쉽게 찾는다. 그래야 (변경을 가할 때) 직접 영향이 미치는컴포넌트만 이해해도 충분 하다. 큼직한 다목적 클래스 몇 개로 이뤄진 시스템은 (변경을 가할 때) 당장 알필요가 없는 사실까지 들이밀어 독자를 방해한다.

  • 큰 클래스 몇 개가 아니라 작은 클래스 여럿으로 이뤄진 시스템이 더 바람직하다. 작은 클래스는 각자 맡은책임이 하나며, 변경할 이유가 하나며, 다른 작은 클래스와 협력해 시스템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 클래스는 인스턴스 변수 수가 작아야 한다. 각 클래스 메서드는 클래스 인스턴스 변수를 하나 이상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메서드가 변수를 더 많이 사용 할수록 메서드와 클래스는 응집도가 더 높다. 모든 인스턴스 변수를 메서드마다 사용하는 클래스는 응집도가 가장 높다.

  • 일반적으로 이처럼 응집도가 가장 높은 클래스는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렇지만 우리는 응집도가 높은 클래스를 선호한다. 응집도가 높다는 말은 클래스에 속한 메서드와 변수가 서로 의존하며 논리적인 단위로 묶인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 ‘함수를 작게, 매개변수 목록을 짧게’라는 전략을 따르다 보면 때때로 몇몇 메서 드만이 사용하는 인스턴스변수가 아주 많아진다. 이는 십중팔구 새로운 클래스로 쪼개야 한다는 신호다. 응집도가 높아지도록 변수와 메서드를 적절히 분리해 새로운 클래스 두세 개로 쪼개준다.

  • 함수를 작은 함수 여럿으로 쪼개다 보면 종종 작은 클래스 여럿으로 쪼갤 기회가 생긴다. 그러면서 프로그램에 점점 더 체계가 잡히고 구조가 투명해진다.

  • 깨끗한 시스템은 클래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변경에 수반하는 위험을 낮춘다.

  • 새 기능을 수정하거나 기존 기능을 변경할 때 건드릴 코드가 최소인 시스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상적인시스템이라면 새 기능을 추가할 때 시스템을 확장할 뿐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는 않는다.

  • 시스템의 결합도를 낮추면 유연성과 재사용 성도 더욱 높아진다. 결합도가 낮다는 소리는 각 시스템 요소가 다른 요소로부터 그리고 변경으로부터 잘 격리되어 있다는 의미다. 시스템 요소가 서로 잘 격리되어 있으면 각 요소를 이해하기도 더 쉬워진다.

  • 이렇게 결합도를 최소로 줄이면 자연스럽게 또 다른 클래스 설계 원칙인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를 따르는 클래스가 나온다. 본질적으로 DIP는 클래스가 상세한 구현이 아니라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클래스는 단순해야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많아지는 클래스를 잘 정리 해야 깨끗한 시스템을 만들수 있겠구나 싶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단일책임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지며, 클래스는 그 책임을 완전히 캡슐화해야 함을 일컫는다.

클래스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은 이 책임과 주의 깊게 부합해야 한다.

책임이란 "변경하려는 이유"로 정의, 어떤 클래스나 모듈은 변경하려는 단 하나 이유만을 가져야 한다고 결론 짓는다.

예를 들어서 보고서를 편집하고 출력하는 모듈을 생각해 보자.

이 모듈은 두 가지 이유로 변경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보고서의 내용 때문에 변경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보고서의 형식 때문에 변경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변경은 하나는 실질적이고 다른 하나는 꾸미기 위한 매우 다른 원인에 기인한다.

단일 책임 원칙에 의하면 이 문제의 두 측면이 실제로 분리된 두 책임 때문이며, 따라서 분리된 클래스나 모듈로 나누어야 한다.

다른 시기에 다른 이유로 변경되어야 하는 두 가지를 묶는 것은 나쁜 설계일 수 있다.

한 클래스를 한 관심사에 집중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클래스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앞서 든 예를 계속 살펴보면, 편집 과정에 변경이 일어나면, 같은 클래스의 '일부'로 있는 출력 코드가 망가질 위험이 대단히 높다.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의존관계 역전 원칙은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분리하는 특정 형식을 지칭한다. 이 원칙을 따르면, 상위 계층(정책 결정)이 하위 계층(세부 사항)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의존관계를 반전(역전)시킴으로써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의 구현으로부터 독립되게 할 수 있다. 이 원칙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1. 첫째, 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상위 모듈과 하위 모듈 모두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

  2. 둘째, 추상화는 세부 사항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세부사항이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

    이 원칙은 '상위와 하위 객체 모두가 동일한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는 객체 지향적 설계의 대원칙을 제공한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