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형식 맞추기의 목적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맨 처음 구현 스타일과 가독성 수준은 유지보수 용이성과 확장성에 영향을 준다.
신문 기사와 비슷하게 작성한다. 가중 중요한 개념을 가장 먼저 표현한다. 가장 중요한 개념을 표현할 때 세세한 사항은 최대한 배제한다.
스타일은 일관적이고 매끄러워야 한다. 온갖 스타일을 뒤섞어 소스 코드를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게 만드는 실수는 반드시 피한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 05. 02
오늘 읽은 범위
5장. 형식 맞추기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오늘 구현한 코드의 가독성은 앞으로 바뀔 코드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오랜 시간이 지나 원래 코드의 흔적을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코드가 바뀌어도 맨 처음 잡아 놓은 구현 스타일과 가독성 수준은 유지보수 용이성과 확장성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p. 96)
소스 파일도 신문 기사와 비슷하게 작성한다. 이름은 간단하면서도 설명이 가능하게 짓느다. 이름만 보고도 올바른 모듈을 살펴보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정도로 신경 써서 짓는다. 소스 파일 첫 부분은 고차원 개념과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의도를 세세하게 묘사한다. 마지막에는 가장 저차원 함수와 세부 내역이 나온다. (p.98)
세로 밀집도는 연관성을 의미한다. 즉, 서로 밀접한 코드 행은 세로로 가까이 놓여야 한다는 뜻이다. (p.100)
변수는 사용하는 위치에 최대한 가까이 선언한다. 우리가 만든 함수는 매우 짧으므로 지역 변수는 각 함수 맨 처음에 선언한다. (p.101)
종속함수. 가능하다면 호출하는 함수를 호출되는 함수보다 먼저 배치한다. (p.104)
개념적 유사성. 어떤 코드는 서로 끌어당긴다. 개념적인 친화도가 높기 때문이다. 친화도가 높을수록 코드를 가까이 배치한다. (p.106)
할당 연산자를 강조할 때 앞뒤에 공백을 준다. (예시: a = b)
함수 이름과 이어지는 괄호 사이에는 공백을 넣지 않는다. (예시: addLine(lineSize, lineCount);)
승수 사이에는 공백이 없다. (예시: b*b - 4*a*c)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종속함수를 사용할 때 함수 배치를 어떻게 할지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앞으로 코드를 수정하거나 작성할 때 호출되는 함수를 나중에 배치하도록 해야겠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클래스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안잡혀서 인스턴스 변수라는 것을 다시 공부해 봐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