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라이브러리는 내가 제어할 수 있으며 쉽게 교체할 수 있으나 프레임워크는 제어권이 없으며 교체가 매우 어렵다.
API는 앱과 앱을 연결하는 매개체
도메인은 ICANN>레지스트리 순으로 관리되며 리셀러를 통해 레지스트리의 도메인을 구입할 수 있고 레지스트리는 자금, 인프라 기술 등이 있으면 누구나 만들 수 있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16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 거 아냐?
에피소드 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에피소드 13 그놈의 API, 대체 뭐길래?
에피소드 14 도메인은 왜 돈을 주고 사야 할까?
에피소드 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 개발 속도를 빠르게 해줄 수 있는 누군가 미리 작성한 코드
라이브러리 : 내가 제어권을 가짐, 제이쿼리, 부트스트랩
프레임워크 : 제어권이 없음, 장고, 스프링
제이쿼리 : 초창기 JS의 한계(브라우저별 다른 코드)와 좋은 기능, 부트스트랩 등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었지만 JS의 발전으로 인해 수요가 적어짐
API : 키보드와 비슷, 프로그램끼리 소통하게 해주며 작동방식을 알 수 없고 내가 직접 만들 수도 있음
도메인 : 최상위는 ICANN라는 비영리 기구에서 관리, 레지스트리 IP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와 같고 .com을 관리하는 베리사인이라는 회사는 레지스트리 운영사다. ICANN에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한 비용, 인프라 기술, 고객관리 능력 등이 있으면 누구나 레지스트리 운영사가 될 수 있다. 리셀러는 레지스트리에 도메인을 등록하는 과정을 대행해 준다
플래시 : 초창기 브라우저의 떨어지는 심미성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표현하거나 동영상 재생을 위해 많이 사용되었으나 첫번째 아이팟터치와 아이폰을 발표한 스티브 잡스의 호소(오픈소스가 아닌 어도비의 독점, 데스크탑 위주의 기능과 취약한 보안)에 따라 사양길에 오르고 HTML5, CSS3라는 웹 표준이 나오며 서비스 종료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반대로 말하는 개발자와 대화했었다는 니꼬의 말에 뜨끔했다. 난 그냥 두개가 같은거라고 생각하고있었으니까. 지금이라도 알아서 다행이다. 꼬리를 무는 궁금증을 간단히 살펴봐야겠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모듈 : 구현체의 최소 단위(1개의 서버와 10개의 클라이언트가 있을때 모듈은 서버 1개, 모듈 1개 총2개)
컴포넌트 : 기능상의 최소 단위(컴포넌트는 11개)
API : 컴포는터를 사용하는 규약, 호출을 위한 수단, 구현 로직 없음, 접근 권한 있어야 함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rkdus8854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