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TIL (Today I Learned) 날짜
📝 2023.01.17(화)
TIL (Today I Learned)
오늘 읽은 범위
Day4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1 - 에피소드 15
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 거 아냐?
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3. 그놈의 API, 대체 뭐길래?
4. 도메인은 왜 돈을 주고 사야 할까?
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70p)
공통점: 개발의 속도를 더 빠르게 한다(윤활제 역할, 도구)
누군가가 미리 작성해 놓은 코드이다
차이점: 누가 누구를 제어하는가?사용자가 도구에 대해서 결정을 내리고 있다면 라이브러리,
반대로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제이쿼리, 부트스트랩
제이쿼리: 자바스크립트 보다 더 쉬운 방법으로 웹사이트에 인터렉티브한 요소를 넣을 수 있게 해주고, 부트스트랩은 웹사이트의 화면 구성할 때 메뉴, 버튼, 레이아웃 편하게 구성
라이브러리 -> 다른 라이브러리 대체 가능
프레임워크: 장고, 스프링프레임워크에 규칙을 따라야 한다!(코딩 규칙, 파일 저장 규칙 등)프레임 워크는 신중하게 결정, 높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할까?(75p)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워라!
- API는 대체 무엇일까?(78p)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사물로 비유 => 키보드소통을 도와주는 역할!
사람과 컴퓨터가 소통할때 키보드를 쓰는 것처럼 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걸 API라고 한다
웹API: 브라우저와 개발자를 위해 만든 것
- 도메인 시스템: 하나의 거대한 전화번호부(85p)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평소에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이 잘 이해되지 않았는데 요약집을 보고 이해할 수 있었어요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