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제어권이 누구에게 있냐의 차이다.
프로그래밍은 운동처럼 매일매일 꾸준히 하기.
레지스트리는 기업에서 관리하며 .com, .co, .tv 등이 있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17. 화요일
[오늘 읽은 범위]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 거 아냐?] ~ [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공통점 : 누군가 미리 작성해 놓은 코드이고,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주는 도구
차이점 : 내가 제어하는가, 제어 당하는가?
라이브러리 : 내가 어떤 도구에 대해 모든 결정을 다 내림 ex) 제이쿼리(jQuery), 부트스트랩(bootstrap)
✔ 내가 필요할 때 불러서 사용 가능. 라이브러리는 다른 라이브러리로 쉽게 대체 가능
프레임워크 :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 프레임워크가 우리를 제어
ex) 장고(Django), 스프링(Spring)
✔ 내가 규칙을 바꿀 수 없음. 프레임워크를 변경할 때는 모든 것을 교체해야 함.
But,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엄밀히 나눌 필요는 없음. 두 개념을 아는 것이 중요.
제이쿼리
당시 자바스크립트가 지금처럼 좋은 언어가 아니었기에 탄생.
브라우저의 호환성 + 깔끔하고 아름다운 코드 + 다양한 기능
=> 제이쿼리 의존도 높아짐.
But, 요즘은 자바스크립트가 제이쿼리의 장점을 소화함.
=> 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우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키보드와 비슷 : 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
-> API는 프로그램끼리 소통하도록 도와줌.
웹 API : 브라우저와 개발자를 위해 만들어짐.
ex) 크롬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코드와 크롬 브라우저를 연결해줌.
사용하는 사람은 API의 작동 방식을 알 수 없음.
도메인 & 레지스트리
도메인 : 거대한 전화번호부와 같음. ex) naver.com ↔ IP 주소 : 202.131.30.11
레지스트리(registry)
- 전화번호부를 관리하는 전화번호부 : IP 주소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부.
- 서브 전화번호부.
- 기업에서 운영. ex) 닷컴(.com) 등
아이캔(ICANN) : 도메인을 관리하는 비영리 기구. 최상위 전화번호부 역할. 메인 전화번호부.
플래시 서비스 종료
플래시 : 애니메이션을 브라우저에 띄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플래시는 오픈소스가 아님 + 데스크톱에 한정적인 프로그램 + 보안 이슈
=> 플래시 서비스 종료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하기 쉬운 실수’ 파트에서 나온 부분을 정리하면
- 처음에 너무 열심히 하지 말고 매일매일 꾸준히 하기
- 공부를 끝내기 위한 TO-DO 리스트보단 무엇을 만들지에 대한 프로젝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기
- 기한을 가지고 공부하기
인데, 챌린지에 참여하면 다 지킬 수 있을 것 같다! 노개북이 끝나면 다른 챌리지에도 참여해보고 싶다. 내가 부디 노개북을 끝까지 성실히 참여할 수 있기를😂
오늘 읽은 파트에서 내가 평소에 헷갈려하던 용어를 다루고 있어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낯선 단어가 많아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읽은 건 안 비밀.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어떠한 것인지는 알겠으나, 실제로 사용해보기 전까지는 추상적인 느낌으로 남아있을 것 같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youjinjoy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480)
cookie00421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