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점유율 95%였던 익스플로어도 10년만에 사장되는 시대, 영원한 것은 없다. 끝없이 성장하자.
할수있는 것과 하는 것은 다르다. 내가 할 일을 구분해서 전략적으로 취업을 준비하자.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18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6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에피소드 17 : 아, 쿠키가 먹는 게 아니라고요?
에피소드 18 : 프런트엔드, 백엔드?
에피소드 19 :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
에피소드 20 : 슈퍼개발자만 할 수 있다, 풀스택?
에피소드 21 :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프론트 엔드 기술을 지원하는 브라우저 엔진이라는 것이 있다. 이 엔진이 HCJ 를 이해하는 역할을 한다. 파이어폭스는 개코(gecko) 사파리는 웹킷(webkit) 크롬은 블링크(blink)라는 엔진을 사용하며 익스플로어는 이 엔진 개발에 게으른 나머지 도태되어버림.
쿠키는 어떤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브라우저를 통해 우리 컴퓨터에 보관하는 기록물이다.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낼 때 이 쿠키에 있는 정보들도 같이 보내게 되고 그래서 브라우저를 껏다가 켜도 로그인이 유지되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피로(JavaScript fatigue)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자바스크립트는 기술 변화가 엄청 빠르다.
서버는 항상 켜져 있는 컴퓨터이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접속 요청이 오면 응답해주는(Serve) 컴퓨터이다.
풀스택은 프런트앤드, 백엔드, 데브옵스(DevOps)를 모두 포함함.
서버리스는 직접 관리하지 않는 서버 - 아마존AWS를 생각하면 된다.
서버리스는 콜드스타트, 서버 제공 회사에 큰 의존성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해보고 싶은 프로젝트라면 이용하는 것도 좋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서버리스라는 단어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좋았습니다. 아마존 AWS를 이용해본 적은 있으나 이것이 서버리스라는 것인지는 몰랐는데
페이스북이 쿠키를 모으는 방법에 놀람. 내가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이미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생각에 놀랐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