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자만하면 망한다. 꾸준히 성장하자
풀스택 개발자는 데브옵스까지
On-Premise > Cloud(IaaS > PaaS > SaaS) > Serverless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18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6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에피소드 17 아, 쿠키가 먹는 게 아니라고요?
에피소드 18 프런트엔드, 백엔드?
에피소드 19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
에피소드 20 슈퍼 개발자만 할 수 있다, 풀스택?
에피소드 21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브라우저는 html, javascript를 실행하게 해주는 여러가지 엔진을 사용한다
쿠키는 1개 domain에 한해서 적용하지만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자의 쿠키를 수집한다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브옵스를 모두 할 수 있을 때 풀스택 개발자라고 한다
서버리스는 프로그램을 함수단위로 쪼개서 요청할때만 동작하는 방식이며 함수가 깨어나는시간이 필요해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이드 프로젝트나 빠른 프로토타입 개발이 필요할때 적합하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기사로만 접하기만 했던 서버리스의 개념에 대해 맛보기로 알 수 있게 되어 여러가지를 찾아 보는 시간을 가졌다.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다는걸 느낀다. 그래도 천천히 계속 가보자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클라우드는 : https://wnsgml972.github.io/network/2018/08/14/network_cloud-computing/
서버리스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1232763_4627.html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dev.seonmin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38) : 소감에 공감이 갔습니다.
bam2hyeon님의 TIL(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41) : 꼼꼼한 정리가 돋보였습니다.
son님의 TIL(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39) : 군더더기 없는 담백한 TIL이었습니다. 앞으로 이런식으로 정리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