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읽은 범위 : Ep.22 ~ Ep.25, 검색 알고리즘이 뭐죠?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알고리즘은 효율적인 실행 방법, 자료구조는 효율적인 저장 방법 (Ep.22, p.134 ~ p.135)
배열은 램에 줄줄이 이어진 형태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배열은 그림을 머리속에 넣어두는게 상책 (Ep.23, p.144)
알고리즘의 속도는 시간 복잡도로 표기하는데, 일반적으로 Big-O표기법으로 표현
O(1) > O(logN) > O(N) > O(N^2) (Ep.24, p.146)
배열의 검색 알고리즘은 선형 검색, 이진 검색(정렬된 데이터) 등이 있으며, 거대한 배열에서는 이진 검색이 효과적이다. (Ep.25, p.153)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등교 준비하기 알고리즘]
이부자리에서 일어나기 - 제일 힘듦, 무조건 해야 됨
가방 챙기기 - 전날 해도 됨
머리 정돈하기 - 바쁘면 패쓰
교복으로 갈아입기 - 무조건 해야 됨
세수, 양치하기 - 바쁘면 패쓰 (있다가 해도 됨)
집 나서기 - 무조건 해야 됨
일단 지시 사항을 알면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겠지요
패스파인더(pathfinder) 알고리즘, 압축(compression) 알고리즘, …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Big-O 표기법의 나머지 내용은 스스로 공부해 봐! → 넵 ^^
📌 소감 3줄 요약
자료구조, 알고리즘이 뭔지는 알고 있고, 필요하면 그때그때 공부하자… 케이스별로 해도 된다.
다차원 배열도 니꼴라스처럼 그림으로 그려보면 재밌을꺼야~, 힘드니까 3차원까지만 3차원을 초과하는 배열은 본적이 없으니까~
시간 복잡도 이번 기회에 확실히 짚고 넘어가자(로그함수, 지수함수는 덤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