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알고리즘의 속도는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절차의 수 N을 이용한 Big-O 표기법을 이용한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처음부터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결국에는 익혀야 한
배열은 읽기, 검색, 추가, 삭제 과정에서의 시간복잡도가 속도를 좌우한다
TIL (Today I Learned) 2023.1.19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 22~2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데이터의 크기와 상관없이 단 한번 실행되는 함수의 시간 복잡도는 O(1)이다. 이를 상수 시간 내에 실행된다고 한다. 두번 실행된다고 O(2)라고 하지 않는다.
데이터의 크기에 정비례하는 시간복잡도는 O(N)이다. 배열 길이가 N이면 N번을 반복하게 된다
배열 길이가 길어질수록 작업 속도가 제곱으로 느려지는 작업은 O(N²)이다.
배열의 크기가 클 때 선형 검색보다 좋은 알고리즘은 이진 검색이다. 이진 검색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정렬이 끝난 배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진 검색은 중앙에서 검색을 시작해서 절반씩 쪼개가며 검색하는 방식이다. 이진 검색의 검색 시간은 y = logx의 그래프 형태를 띈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Big-O는 쉬운 것 같으면서도 막상 내 코드의 시간복잡도에 대입해보려면 어렵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오늘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