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2023.01.19(목)
TIL (Today I Learned)
Day6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2- 에피소드 25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라고?
배열이 뭐죠?
알고리즘의 속도는 어떻게 표현할까?
검색 알고리즘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132p)
코드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알고리즘은? 컴퓨터에게 내리는 지시사항 나열
패스파인드알고리즘: 목적지까지 최대한 빠르게 가는 방법
압축 알고리즘: 이미지를 최대한 덜 손상하면서 용량을 효율적으로 줄이기 ex) png, jpg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자료구조
배열(137p)
읽기, 검색, 추가, 삭제과정에서의 시간 복잡도
시간복잡도는 작업속도!
메모리: 컴퓨터의 기억 공간
메모리의 종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
휘발성 메모리: 컴퓨터의 메모리로 램 (RAM)
주로 프로그램 변수, 함수 램의 정리, 데이터의 저장된 위치와 상관 없이 일정한 접근 속도 보장
배열의 원리(144p)
1. 배열은 램이 줄줄이 이어진 형태로 공간 차지
2. 컴퓨터는 배열의 시작 주소와 길이를 알고 있다 그래서 배열은 읽는 속도가 아주 빠르다
3. 배열은 맨 앞부터 차곡차곡 채워져 있어야 한다
그래서 배열은 삽입과 삭제가 느리다
알고리즘(145p)
알고리즘의 속도를 표현하는 방법은? Big-O
검색 알고리즘(150p)
선형 검색 알고리즘: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
y = x
이진 검색 알고리즘: 데이터의 정렬이 끝난 배열에서만 사용 가능
거대한 배열을 다룰 때 효과적,
배열은 항상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배열, 알고리즘의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