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26-29

#book_club
2년 전
652

오늘 TIL 3줄 요약

대표적 정렬 알고리즘 3가지의 원리와 시간복잡도를 따져본다.

추상적 자료구조 스택과 큐의 원리, 시간복잡도를 낮추는 해시테이블에 대해 알아본다.

클린코드의 대표적 원칙을 알아본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1.20

오늘 읽은 범위

26-29장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26 정렬알고리즘의 대표적 방식 버블, 선택, 정렬 3가지는 시간복잡도 O(N^2)지만 배열의 초기 상태 등에 의해 속도 차이가 어느정도 있다.

27 스택과 큐는 문법이 따로 없고 규칙만 지키는 추상자료구조이고, 각각 LIFO, FIFO 규칙을 따른다.

28 해시테이블을 이용하면 시간복잡도를 상수로 줄인 빠른 자료구조 도입이 가능하다.

29 클린코드는 변수명 함수명 매개변수 등을 잘 설정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여 작동이 잘되고, 코드를 읽기만해도 충분히 잘 이해되는 코드를 말한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스택과 큐에 대해 이해하기 됐다. 읽기만해도 이해되는 클린코드. 그 원칙을 정리해보니 왜 상수에 변수명 부여해 관리하고 함수 기능을 1가지, 함수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으라는지 이해하게 됐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해시 테이블? 해시 함수? 이건 블록채인에서 들어 본 개념인데 블록채인에서도 바로 이걸 사용하는걸까?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추후 추가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