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오늘 TIL 3줄 요약 ]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O(N2)로 같지만 속도는 차이가 난다.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큐는 FIFO(first in, first out)
해시 테이블은 키/값을 짝지어 저장하는 구조로 시간 복잡도가 O(1)이다.
[ 🗓 TIL 날짜 ]
2023.1.21
[ 🔖 오늘 읽은 범위 ]
26~29
[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스택은 팬케이크와 비슷해서 위에서부터 데이터를 쌓고 위에서부터 뺄 수 있다(LIFO, last in first out)
큐는 버스 정류장 줄선 것과 비슷하게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빠져나간다 (FIFO, first in, first out)
웹 브라우저의 뒤로가기 버튼은 스택, 되돌리기도 스택. 쇼핑몰 주문 처리 시스템은 큐
해시 테이블의 검색 속도는 O(1)으로 굉장히 빠른데, 해시 함수가 속도의 비결이다
클린 코드란 설명이 필요 없는 코드를 의미한다. 코드만 읽어도 무슨 일을 하는지 어떤 일을 하는지 파악이 되어야한다.
불린 값을 인자로 보내지 마라. 한 번에 한가지 일만 처리해야 한다.
[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자료 구조들이 뒤로가기/되돌리기처럼 웹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걸 알고나니 재미있다.
클린코드 책 읽어봐야겠다. 클린한 코드로 잘 짜고 싶다(진짜로)
[ 🤓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
story3697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762)
ddobab85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