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좋은 코드는 좋은 소설처럼
깨끗한 코드는 주의 깊게 작성한 코드다
독자를 생각하며 코드를 쓰자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22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9~34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클린코드 : 코드를 읽기만 해도 이 코드가 무슨 의미인지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코드
-의미있는변수, 함수의 이름을 적절히 사용할 것
-함수의 이름은 동사로 지을 것(함수의 액션은 1개!)
-매개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할 것(3개 이하권장, 많이 사용해야 한다면 컨피겨레이션 오브젝트 방식으로 묶어 표현)
-불린값(참 or 거짓 자료형)을 인자로 보내지 말 것
-축약어를 쓰지 말 것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 내가 만든 프로그램에 책임을 져야 한다., 만드는 것에 그치면 안 되고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이다
SQL은 엑셀과 유사하고, 문법도 영어와 비슷하다. SQL의 번역기 역할을 하는 ORM을 이용하면 아주 편리하지만, 번역기가 생활의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지 않듯이, SQL의 기본은 알고 있으면 좋다.
NoSQL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 다 다르다. ㅡ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document DB), 키값 데이터베이 스(key-value DB),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raph DB)
깃 : 파일의 이력을 관리, 깃허브: 관리한 이력을 저장,공유하는 공간
SemVer : #.##.###
- #: 프로그램에 큰 변화가 있을 때
- ##: 마이너한 업데이트
- ###: 패치나 버그수정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개발자라면 꼭 읽어보아야 할 책이라고 하는<<클린 코드>> 개인적으로도 꼭 읽어야겠다.
현재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언어들도 언젠가는 새로운 더 편리한 언어들에 묻힐 텐데, 개발자가 된다면 현재의 언어도 제대로 공부해서 깔끔한 코드를 만들고, 다가오는 미래에도 적극적으로 부딪히는 자세를 가져야 겠다는 생각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SQL과 NoSQL ? 알 것 같으면서도 뒤돌면 모르겠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