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Day10)노개북_ITDic_Ep30~34

#book_club
2년 전
514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22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0 ~ 에피소드 34

오늘 TIL 소감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SQL의 중요성에 대해서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는데, 좋은 인사이트.

깃허브에 가입만 해놓고 어떻게 활용하는지 몰랐는데, 기초적인 지식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버전의 숫자에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질문 또는 문의, 언어)는 데이터 베이스에 어떤 질문 또는 문의를 하기 위해 어떤 구조를 가진 언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즉, SQL은 한마디로 말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야.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개발자에게 SQL 번역기 같은 도구인데, 사용자에게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SQL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줘. 문제는 개발자가 ORM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거야. 하지만 ORM에 의존하면 ORM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워. 번역기가 만능은 아닌 것처럼 말야.

  • SQL은 개발에 꼭 필요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이기 때문이야. 각종 개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질 수 있을 테니까 말이지.

  •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사용하면 돼. 다만 아주 평범한 프로젝트라면 대부분 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편이야.

  • 깃이 커피라면 깃허브는 커피숍 정도로 비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겠지?

  • 깃은 간단히 말해서 파일의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야.

  • 깃허브는 파일 클라우드 서비스랑 같아. 다만 파일뿐만 아니라 깃으로 관리한 파일 이력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지.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

  • 대표적인 SQL 데이터베이스에는 무엇이 있을까?

  • 프로그램 버전을 기입하는 다른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