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고, 딥러닝은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이다.
도커를 사용하면, 서버가 추가될 경우, 추가된 서버에 개발 환경을 새로 세팅하는 과정 없이 도커 컨테이너를 복제하면 된다.
프로그래밍은 자신이 필요한 것을 공부할 때 가장 효율적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25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9 - 에피소드 4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인공지능 VS. 머신러닝 VS. 딥러닝
인공지능
좁은 인공지능(narrow AI, week AI) : 좁은 분야의 일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예시) 페이스북의 얼굴 인식, 빅스비나 시리의 음성 인식
일반 인공지능(general AI, strong AI) : 인간의 행동 대부분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 아직 불가능한 기술!
머신러닝 :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법 중 하나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 인간이 기계에게 준 라벨을 토대로 학습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 라벨이 없는 데이터를 토대로 학습
딥러닝 : 머신러닝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여러 층으로 깊이 학습하는 방법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REST 방식으로 설계한 API
URL에서 동사 제외하기
HTTP 메서드 도입하기
GET : 조회 작업
POST : 생성 작업
PUT/PATCH : 수정 작업
DELETE : 삭제 작업
쿼리 도입하기 : 조회할 시의 파라미터 설정
도커(docker) :
어떤 컴퓨터에서도 같은 개발 환경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도커 파일 : 개발 환경 설정 파일
컨테이너(container) : 도커 파일에 설정한 내역이 동작하는 독립적인 환경
암호화폐 :
안전하게 우리 재산을 보관해주는 은행과 달리 구매자 스스로 지갑과 키를 잘 관리해야 한다.
하이브리드앱 VS. 크로스 플랫폼 앱 VS.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앱 : HCJ(HTML, CSS, Javascript)언어로 개발한 웹을
웹 뷰(주소 창이 없는 브라우저)로 보여주는 앱.
장점 : 네이티브 앱 개발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단점 : UI를 직접 구성해야 하며, 스마트폰의 기능(기본 카메라 기능, 위치 확인, 네트워크 정보 등)을 온전히 활용할 수 없다.
크로스 플랫폼 앱 : 특정한 언어로 코딩하고, 나중에 iOS, 안드로이드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한 앱.
장점 : 코드를 한 번만 작성해도 된다.
단점 : 네이티브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성능에 조금 문제가 있다.(기술적인 한계)
네이티브 앱 : iOS만을 위한, 또는 안드로이드만을 위한 언어로 작성된 앱.
장점 : 스마트폰의 성능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 : iOS, 안드로이드를 위한 언어를 모두 알아야 한다.
iOS를 위한 언어 -> Swift
안드로이드를 위한 언어 -> Java 또는 Kotlin
NFT(Non 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한 토큰
토큰
스마트 계약 = 돈을 받는 기능 +
돈을 받고 토큰을 보내주는 기능
토큰 발행 갯수를 스마트 계약으로 정할 수 있음
NFT는 인터넷 세상에서 재산권을 증명하는 기술
멀웨어 VS. 바이러스 VS. 웜
멀웨어(malware) : 악성 소프트웨어
바이러스(virus) : 뭘웨어 중 파일(숙주)을 내려받아서 열 때 감염되는 것
웜(worm) : 뭘웨어 중 자기 자신을 복제하면서 전파되어 감염되는 것
웜은 미사일(missile)을 통해 컴퓨터 안에 침투하고, 그 순간 페이로드(payload)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컴퓨터를 파괴시킨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에피소드가 7개라 내용이 많았다..!
도커는 검색해보니 또 다른 세계(방대한 내용..)가 있는 것 같은데.. 나중에 따로 공부해봐야겠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gong 4737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7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