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IT 5분 잡학사전 6~10

#book_club
2년 전
627

오늘 TIL 3줄 요약

  • 오류를 발견했을때는 오류 메세지 부터 읽어보자

  • 어떤 것이던 만들어보자

  • 실수를 안하는 개발자는 없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2.20

오늘 읽은 범위

6장 ~ 10장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실수를 하나도 하지 않고 코드를 줄줄이 완벽하게 쓸수 있는 사람을 말할까? 그렇지 않아. 훌륭한 개발자도 실수를 해. 다만 그들은 실수를 그냥 넘기지 않고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하지. P.40

  • 방법 1. 문제가 생겼을 때 나 자신을 문제에서 빼지 말 것 “코드에서 자꾸 오류가 나요!” 이 말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물론 인터넷에서 찾은 문서나 책을 보고 똑같이 코드를 입력했는데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이때 책이나 인터넷 문서 탓만 하면 안 돼. 외부 요인만 탓하면 발전할 수 없거든. 생각을 바꾸는 거야. 코드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코드를 입력한 나 자신 때문이다’라고. 그러면 그때부터 실수가 다르게 보일 거야. 그리고 시야를 더 넓게 가질 수도 있겠지! P.40

  • 방법 2. 오류부터 고치려고 무작정 달려들지 말 것 여기서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오류를 고치기 전에 오류가 왜 생겼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거야. 왜 오류가 났는지 원인을 찾고 이해해야 나중에 비슷한 상황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지? P.41

  • 방법 3. 오류 메시지를 읽을 것 오류 메시지가 난 것만 확인하고 코드로 눈을 바로 옮기는 사람이 많은데 그러면 안 돼! 오류 메시지에는 대부분 오류가 발생한 위치와 원인, 오류를 고치는 방법이 친절하게 적혀 있어. 그러니 오류 메시지를 읽는 시간을 아까워하면 안 돼. 코드로 돌아가지 말고 오류 메시지부터 읽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 P.41

  • 실수 1: 공부만 하고 실제로 무언가 만들어 보지 않는다. 프로그래밍은 동사라고! 프로그래밍을 배운 사람이라면 결국 무언가를 만들게 돼. 그래서 그저 글을 읽고 외우기만 하는 건 시간 낭비야.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면 나만의 코드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해. 선생님이 칠판에 적어 준 것처럼 코드를 따라 적고, 책에 있는 코드를 베끼기만 해서도 안 돼. 너 자신의 힘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해. 또, 중요한 것 하나! 초보자에게 맞는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 해. P.42

  • 실수 2: 항상 프로그래밍 할 준비를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수 1]을 다시 읽어 보고 바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돼. 뭐든지 간에 만들기 시작하면 일단 완성된 결과물이 눈앞에 나타날 거야. 그 결과물에는 이때까지 여러분이 배웠던 모든 것이 들어 있겠지. 그걸 눈으로 보는 순간 두뇌는 준비되었다고 인지할 것이고, 저 바닥까지 떨어져 있던 자신감이 반대로 쭉쭉 올라가서 ‘나는 준비되어 있구나!’ 하고 자신을 믿게 될 거야. 그런 사람들 있지? 계속 말로만 코딩하고, 강의를 사재기하고, 책만 모으는 사람. 그렇게 눈으로만 보고 말하는 사람은 사실 무언가를 만들지 않아. 이런 사람은 자신의 실력을 확인할수 없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믿음이 생길 수가 없지. 그래서 계속 더 준비해야 한다고 하는 거야. 자신의 성과를 측정하고 싶다면 일단 뭐든지 좋으니까 만들어 봐. P.43

  • 2가지 방법으로 번역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는 크게 2가지 방법으로 번역되는데 번역하는 방법에 따라 각각 인터프리트 언어(interpreted language), 컴파일 언어(compiled language)라고 해. 인터프리트 언어에서 인터프리트는 ‘해석하다’ 정도로, 컴파일은 ‘편집하다’ 정도로 직역할 수 있어. P.52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앞으로 에러가 나면 에러 메세지부터 보는 노력과 그것을 토대로 다음에 는 실수를 덜하고 싶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_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