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라이브러리는 내가 도구에 대한 모든 결정을 내릴 수 있고, 프레임워크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도구를 사용해야한다.
API는 프로그램끼리 소통을 하기 위한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이다.
플래시가 iOS에서 배제 된 이후로 플래시를 대체할 기술들이 HTML5와 CSS3에 도입되었고, 이로 인해 개발 속도에도 박차를 가했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년 02월 21일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1~1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자바스크립트의 브라우저 호환성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지만 현재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능 향상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더 이상 jQuery에 의존할 필요가 사라졌다.
화면은 보여주는 역할만을 하고,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만 한다. 즉, 데이터를 어느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서 어떻게 저장하라와 같은 연결 역할을 해주는 것이 API이다.
만약 API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직접 만들수도 있다.
레지스트리는 꽤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지만 도메인을 입력하면 이를 IP 주소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하고, 보안 요소를 구축하고 있어야 해서 신경 쓸 것도 많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사실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는 남들이 부르는대로 따라부르기만 했고 정확한 차이점은 몰랐는데 어떠한 부분이 달랐는지 예시를 보니 확 와닿았다. 그리고 도메인도 생각없이 사용하기만 했는데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왜 돈을 주고 사야하는지에 대해선 크게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그 이유를 확실히 알게되어서 재밌었다. 레지스트리 관리나 비용을 보니 그냥 도메인은 사서 쓰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플래시가 없어지게 되면서 웹 개발에 가속도가 붙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편리한 기술 하나만 믿고 편하게 개발하면 안되겠단 자기반성도 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궁금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은 아니지만 API는 볼수록 재밌는것 같았다. 꼭 나만의 API를 만들어봐야겠단 다짐을 하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