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IT 잡학사전 #11~#15

#book_club
2년 전
330

오늘 TIL 3줄 요약

  • 라이브러리는 내가 도구에 대한 모든 결정을 내릴 수 있고, 프레임워크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도구를 사용해야한다.

  • API는 프로그램끼리 소통을 하기 위한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이다.

  • 플래시가 iOS에서 배제 된 이후로 플래시를 대체할 기술들이 HTML5와 CSS3에 도입되었고, 이로 인해 개발 속도에도 박차를 가했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 2023년 02월 21일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 11~1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자바스크립트의 브라우저 호환성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지만 현재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능 향상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더 이상 jQuery에 의존할 필요가 사라졌다.

  • 화면은 보여주는 역할만을 하고,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만 한다. 즉, 데이터를 어느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서 어떻게 저장하라와 같은 연결 역할을 해주는 것이 API이다.

  • 만약 API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직접 만들수도 있다.

  • 레지스트리는 꽤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지만 도메인을 입력하면 이를 IP 주소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하고, 보안 요소를 구축하고 있어야 해서 신경 쓸 것도 많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사실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는 남들이 부르는대로 따라부르기만 했고 정확한 차이점은 몰랐는데 어떠한 부분이 달랐는지 예시를 보니 확 와닿았다. 그리고 도메인도 생각없이 사용하기만 했는데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왜 돈을 주고 사야하는지에 대해선 크게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그 이유를 확실히 알게되어서 재밌었다. 레지스트리 관리나 비용을 보니 그냥 도메인은 사서 쓰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플래시가 없어지게 되면서 웹 개발에 가속도가 붙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편리한 기술 하나만 믿고 편하게 개발하면 안되겠단 자기반성도 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궁금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은 아니지만 API는 볼수록 재밌는것 같았다. 꼭 나만의 API를 만들어봐야겠단 다짐을 하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