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미리 작성해 둔 코드로, 개발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공통점이 있고 누가 누구를 제어하는지가 차이점이다.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끼리 소통할때 쓰는 일종의 규칙
도메인을 만드는 건 레지스트리(IP주소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부)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02.22
오늘 읽은 범위
EP. 11 ~ 15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제이쿼리란?
API란?
도메인을 돈주고 사는이유는?
플래시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코드이다. (도구이나 프로그램은 아니다)
차이점 : 내가 제어하는가? or 제어 당하는가?
둘의 차이점 = 누가 누구를 제어하는가?
어떤 도구에 대해서 모든 결정을 다 내리고 있다면? 라이브러리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프레임워크
리액트는 라이브러리다.
리액트는 컴포넌트라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함.
컴포넌트에도 사용규칙이 있음.
규칙에 맞게 코딩하지 않으면 리액트는 오류를 발생시킴.
그러나 리액트나 라이브러리냐 프레임워크냐 판단하는건 중요하지 x
“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워라!!” (과거엔 제이쿼리가 더 쉬웠음 지금은 자바스크립트도 훌륭~!)
API 대체 뭐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줄임말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키보드와 비슷한 API
프로그램끼리 소통할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을 API라고 한다.
연결 역할!!!
데이터베이스와 우리 사이의 소통, 연결.
도메인 시스템을 잘 관리하려면? 레지스트리를 알아야함
메인 전화번호부 - 서브 전화번호부 (레지스트리)
registry
레지스트리는 기업에서 운영한다. 예를 들면? 닷컴 (.com)
닷컴관리는 베리사인(Verisign)이라는 회사에서 함
수익성도 좋은 사업임
도메인 구매할 수 있는곳
고대디(Godaddy)
가비아(gabia)
후이즈(Whois)같은 리셀러에게 사야함
내용정리 (흥미로운게 많네..)
-도메인을 만드는 건 레지스트리다.
-레지스트리는 IP주소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부다.
-레지스트리 운영사가 되려면 엄청난 돈과 인프라가 필요
-도메인을 구매하면 레지스트리 운영사가 아니라 리셀러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
-리셀러는 계약관리, 결제 처리, 도메인 비용 지금등의 일을 한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어도비 플래시 장례식을 본 적이 있다. 사이트에 추모도 하러가고 어릴적 자주 이용하던 플래시 서비스에대한 추억도 분명 있지만 왜 플래시가 종료되었는지 몰랐는데 궁금증이 해소되었다. + 개발자에게 오픈소스란 중요한 거구나!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플래시가 유난히 보안이슈에 취약한 이유는 뭐였을까?
컴포넌트는 뭐지?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