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시간 복잡도의 표기는 같더라도 상황에 초기 데이터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효율은 다름.
큐, 스택은 실제로 존재하는 문법이 아닌 일련의 규칙과도 같음(a.k.a 추상 자료구조)
해시 테이블은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해줌.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9.02
오늘 읽은 범위
ep.26~29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시간복잡도가 모두 N제곱으로 같은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하지만 초기 데이터 상태에 따라서 처리 속도는 달라질 수 있음.
위에서 부터 쌓고, 위에서부터 데이터를 빼는 것이 스택. (팬케이크) = LIFO (Last In, First Out)
ex) 웹 브라우저 뒤로 가기 버튼, 되돌리기 단축키
위로 데이터를 쌓고, 아래에서부터 데이터를 빼는 것이 큐. (버스정류장) = FIFO (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
ex) 쇼핑몰 주문 처리 시스템
해시 테이블 검색의 시간 복잡도는 O(1). but 해시 충돌이 있을 경우 달라질 수 있음.
해시 테이블 속도의 비결은 해시 함수.
해시 함수는 키를 인덱스로 바꿔주는 역할을 함.
클린 코드는 읽기만 해도 이 코드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짜여진 것.
클린 코드 tip1 : 변수와 함수 이름은 꼭 의미있는 것으로.
클린 코드 tip2 : 함수 이름은 가급적 동사를 사용.
클린 코드 tip3 : 매개 변수(함수에 값을 전달하는 것)는 너무 많지 않게. 3개 이하 권장.
클린 코드 tip4 : 불린값(true/false)을 인자로 보내지 말 것.
클린 코드 tip5 : 나만 아는 축약어 사용 금지.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전에는 아무 생각없이 사용했던 해시테이블에 대해 다시 알게 된 시간이었다.
누가봐도 우왓 쩐다! 하는 클린 코드를 작성하는 그 날 까지.. 화잇팅🥹💪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changaling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8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