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REST API는 REST라는 규칙을 지킨 API
도커는 개발 환경을 쉽게 꾸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
하이브리드 앱은 웹 앱, 크로스 플랫폼 앱은 IOS, 안드로이드 모두 가능한 앱, 네이티브 앱은 둘 중 하나만 가능한 앱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9.06
오늘 읽은 범위
ep.39~4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인공지능의 구분
일반 인공지능: 사람처럼 행동
좁은 인공지능(약한 인공지능): 한 가지만 잘하는 인공지능
인공지능 개발에서 많이 쓰는 언어: 파이썬 / 프레임워크: 텐서플로
머신러닝: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법 (지도학습법과 비지도 학습법이 있다)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하나
REST API: REST라는 설계 방식으로 설계한 API
도커: 개발 환경을 준비하는 도구 (원하는 개발환경을 도커파일에 저장하여 준비)
컨테이너: 도커가 준비한 환경, 컨테이너 간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이다. 쉽게 복제 가능
하이브리드 앱: 웹뷰, 네이티브 앱 개발 지식 필요 없음, UI 구현이 귀찮음, 스마트폰 성능 활용 못함
크로스플랫폼 앱: 특정 언어로 개발하면, IOS, 안드로이드에 맞춰서 코드를 변환해준다.
리액트 네이티브 -> JS로 변환됨
플러터 -> C, C++ 로 변환됨
장/단점: 개발자가 익숙한 코드로 한번만 작성 가능, 네이티브 앱 성능은 못 따라감
네이티브 앱
IOS: 스위프트
안드로이드: 자바 or 코틀린
장/단점: 스마트폰 성능을 최대로 사용 가능, 러닝 커브가 높음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개발로 다양한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과제2] 최애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8382) : 페이지수를 세세히 적으셔서 나중에 참고 하기 좋을 것 같다.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8377 ): 내용을 잘 정리해주셔서 좋았다.
inalee 님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8361) : 정리를 정말 잘하시고, 그림과 따로 더 조사까지 하셔서 엄청 인상깊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