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비밀번호와 무적의 솔트를 합치면 안전한 비밀번호!
객체형 프로그래밍은 붕어빵을 찍어내는 붕어빵 기계처럼 객체를 찍어낸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를 중심으로 적는 선언형 프로그래밍 컨셉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11.21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5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에피소드 36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 ①
에피소드 37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 ②
에피소드 38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비밀번호 시스템 해시함수
-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진다.
- 입력값이 바뀌면 출력값도 바뀐다. (무작위성)
- 반대로 입력해도 원래 값이 나오지 않는다.
- 해시 함수가 변경한 값을 원래의 값과 연결한 표인 레인보우 테이블이 있기 때문에 완벽하게 안전하지는 않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솔트라는 것이 생겼는데 솔트는 무작위 텍스트이다.
- 비밀번호와 솔트를 합쳐서 해시 함수에 통과 시키면 원래 비밀번호를 찾을 수 없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프로그래밍을 할 때의 관점⋅방식,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고의 틀
(ex.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클래스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객체를 찍어내는 공장, 값만 넣어주면 객체가 생성된다.
클래스는 상속이 가능해서 기본 속성을 가지면서도 각자만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ex. 자바,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등)
함수 중심으로 코드를 적는 방식
선언형 : 원하는 결괏값을 선언 / 결과 중심으로 코드를 작성 / 실수↓ / 타인의 이해도↑
명령형 : 원하는 결괏값에 어떻게 도달하는지 선언 / 세세한 지시 가능 / 실수↑ / 타인의 이해도↓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함수형 프로그래밍 안에서도 방식이 나뉘는 줄 몰랐는데 선언형과 명령형의 명확한 차이를 알았다.
코드를 짤 때 풀어나가야 하는 순서대로 작성해놓고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코딩을 했었는데 이건 명령형이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X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