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IT 5분 잡학사전 # 06~10

#book_club
1년 전
504

오늘 TIL 3줄 요약

  • 오류 메시지와 친해지는 것, 많이 읽고 익숙해지는 것이 문제해결의 첫걸음이다.

  • Python 의 인기는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다. (다음 이미지는 2023ver)

  • 파이썬은 인터프리트 언어이며 c 언어는 컴파일 언어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12.10.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06~10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자바는 compilation, interpretation 모두 활용한다. :

    자바 코드가 컴파일되어 자바 바이트 코드를 얻을 수 있고 이는 다시 자바 가상 머신을 통해 윈도우·리눅스·맥OS 각각의 기계어로 번역된다.

  • 인터프리트 언어 vs 컴파일 언어 :

    인터프리트 언어는 인터프리터가 실시간으로 언어를 0과 1의 언어로 번역해준다. 반면 컴파일 언어는 원고나 문서 등을 통째로 번역 후에 전달 해주는 방식을 취한다. 모두 그렇지는 않으나, 인터프리트 언어 보다 컴파일 언어가 조금 더 빠르며, 인터프리트 언어는 즉각 오류를 알기 어렵다고 한다.

  • 코틀린은 자바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된다. 결국 실행에 쓰이는 것은 자바바이트 코드이므로 코틀린이 자바와 100% 호환된다고 하는 것이다.

  • 코틀린은 null safety 언어이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아직까지 자바나 코틀린을 배워본 경험이 없어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명을 적어놓은 파트는 다소 내용이 와닿지 않았다. 반면 강의라도 조금 들어보며 무언가 코드를 작성해 똑같이 만들어보기라도 한 파이썬에 대해서는 잘 이해가 갔다. 역시, 먹어보지 않고서 음식의 맛에 대한 설명을 하루 종일 듣는다 해서 그 음식의 맛을 알게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역시 백문불여일견이 적용되는 분야인 것이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코틀린은 크로스 플랫폼 범용의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한다. 코틀린은 검색해보면 자료형 체계가 정적 정형이라고 하는데 동적 정형과 정적 정형의 의미 구분 또한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 몇 개발자 블로그의 설명을 통해서 이해한 바로는 컴파일 언어는 주로 정적, 인터프리트 언어가 동적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 분류가 아니거나 오개념일 가능성이 있음을 열어둬야 겠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