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IT 5분 잡학사전 #22~#25

#book_club
1년 전
291

오늘 TIL 3줄 요약

  • 컴퓨터는 배열의 시작주소와 길이를 알고 있고, 맨 앞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어서 (중간)삽입과 삭제 등의 속도가 오래 걸린다.

  • Big-O 표기법으로 대략적인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파악할 수 있고, 실행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만을 고려한다. O(N), O(N^2) 등.

  • 검색 알고리즘으로는 선형 검색 알고리즘보다는 이진 검색 알고리즘이 더 자주 쓰이는데, 대산 배열이 항상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4.01.11.

오늘 읽은 범위

22~25장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이진 검색의 경우 y=logx의 그래프 형태를 보여, 데이터가 아무리 많아진다해도 시간이 그렇게 많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 이차시간의 경우 배열 길이가 길어질 수록 작업 속도는 제곱배로 느려지고 이를 O(N^2)으로 표현할 수 있음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코드에서 배열 중 일부 삭제하는 것이 생각보다 복잡하구나- 느꼈고, JS에서 특정 위치의 원소를 삭제, 추가하는 것 외에도 굳이 shift()나 pop(), push()같은 함수가 따로 있는 이유도 알 것 같다. 시작이나 끝에서 작업을 하면 훨씬 쉽게 할 수 있으니 본질적으로 돌아가는 원리 자체가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

  • 사실 ep26까지 미리 읽긴 했는데 O(N), O(N^2)는 정말 단순화 된, 알고리즘의 속도에 대한 개략적인(=산술적이냐, 기하급수적이냐) 정보만을 주는 것 같고, 나중에는 좀 더 열심히 공부해서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