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IT 5분 잡학사전 Day12

#book_club
1년 전
208

오늘 TIL 3줄 요약

  • 선언형 코드도 그 내부는 명령형으로 되어있다.

  • 솔트가있다면, 더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있다.

  • 객체지향은 코드의 재사용을 쉽게만들고, 함수형은 버그를 피하게 해준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17

오늘 읽은 범위

EP 35-38

  • 선언형 코드도 그 내부는 명령형으로 되어있다.

처음에 명령형, 선언형 개념을 알게되었을때 굉장히 당혹스러웠다.
추상화가 잘된 함수의경우 내가 선언형으로 잘 사용하면 편하겠지만,

로우레벨로가면 명령형이 아닐수가있나? 싶었다.

혼란이왔는데, 선언형으로 사용하는 함수더라도, 그 내부는 명령형으로 되어있다는걸 보고 안심이되었다.

  • 솔트가있다면, 더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있다.

한번 생각해본 아이디어였는데, 해쉬함수를 통과할때 멱등성을 보장시켜줄수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게 보장이 되도록 하는 기술이있다니 신기했다.
해쉬함수와 솔트에대해 좀더 궁금해졌다. (항상 같은결과를 보장하여 같은 해쉬값을 내놓음)

  • 객체지향은 코드의 재사용을 쉽게, 함수형은 버그를 피하게 만든다.
    함수형도 재사용을 쉽게만들긴 하지만, 버그를 피하게 만든다는점이 더 와닿았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프로그래밍을 리마인딩했다.
    둘다 뭔가 배울때는 새로웠지만,
    결국 다 출현한지 오래된 기법이고, 아주 새로운것은 없는것같다.
    산업전반에서 코드 디자인패턴이 큰 틀로 바뀌는 걱정은 안해도 될것같다.

  • 요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연습하고있어서 TODO 리스트도 class 기반으로 리메이크를했는데
    확실히 코드의 재사용, 기존 코드를 활용한 중복요소 추가가 훨씬 쉬워졌다.

    하지만 클래스에게 적절하게 책임을 분류하는 설계과정은
    처음 모멘텀 코드를 짤때에 비해 너무어려웠다.

    그리고 클래스 설계에 든 공수만큼 재사용을 많이하지도 않았다.
    기존코드와 리팩터링 코드의 라인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그래서 기왕 바꾼김에 꾸준히 기능추가를 해봐야겠다.

  • 솔트

비밀번호에 매번 무작위 번호를 섞으면 어떻게 그 걸 통과시키는 해쉬함수가
멱등성을 유지하여 로그인을 시켜주는지 궁금해서, 좀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