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5장. 형식 맞추기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
오늘 구현한 기능이 다음 버전에서 바뀔 확률은 아주 높음
→ 구현 코드의 가독성은 바뀔 코드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빈 행은 새로운 개념을 시작한다는 시각적 단서
💡 항상 같은 맥락 코드끼리 묶으려고 빈 행을 사용하긴 했다. 다만 이렇게 이론적으로 생각은 안 해봤는데 신기방기.
서로 밀접한 개념은 세로로 가까이 둬야 함
protected 변수를 피해야 함
💡 적절한 사용법이 있을 것 같은데 마냥 피하라고 하니 설명을 더 해줬으면 좋겠다. 변수는 사용되는 코드 근처에서 선언되어야 하는데 상위 클래스에 선언되어 버려서? 마냥 피할 수는 없을 것 같은데 구체적 예시가 궁금하다.
잘 설계한 클래스는 클래스의 많은 메서드가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함
한 함수가 다른 함수를 호출한다면 두 함수는 세로로 가까이 배치하고 가능하다면 호출하는 함수를 호출되는 함수보다 먼저 배치
100 - 120자 정도로 행 길이를 제한
곱셈은 우선순위가 가장 높기 때문에 100 + (3*2)
와 같이 공백을 조절할 수 있음
들여쓰기 무시하기는 웬만하면 하지 않기!
💡 찔린다 찔려…. 파이썬으로 처음 코딩다운 코딩을 해서 그런가 원라인코드를 좋아하는 편이다. 그 이후 자바/코틀린 개발자가 되었지만 그 버릇을 버리지 못하고 if문을 가끔 원라인으로 작성했다. 코드리뷰에서 뚜들겨 맞고 수정했지만…. 다시 생각하니 내가 잘못한 것 같아서 이후에 작성하는 코드에서는 범위를 제대로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