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TIL (Today I Learned)
2022.02.20
오늘 읽은 범위
2장. 의미 있는 이름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변수나 함수 그리고 클래스 이름은 다음과 같은 굵직한 질문에 모두 답해야 한다. 변수(혹은 함수나 클래스)의 존재 이유는? 수행 기능은? 사용 방법은? 따로 주석이 필요하다면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지 못했다는 말이다. (p.22)
일관성이 떨어지는 표기법은 그릇된 정보다. (p.25)
의도를 분명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라. (p.33)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나는 개발작업간에 이름을 만들 때 길이가 길며 안되고, 이름 또한 의미를 내포하되 간략하게 표현하는 것이 '잘' 하는 이름 짓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혼나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길이가 길더라도 잘 지어진 이름 하나. 즉, 의도가 분명한 이름은 주석이 필요가 없을 정도라는 말 또한 가슴에 와 닿았다. 개발 이후에 내 코드를 다시보면 이름을 왜 이렇게 지었지? 뭘 의도하는 걸까라고 스스로에게 되묻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래밍은 사회활동이라는 구절처럼 나의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이름을 작성하여 좀 더 나아진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이름 길이는 범위 크기에 비례해야 한다. -> 여기서 범위 크기라는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생성자를 중복정의할 때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사용한다. -> 정적 팩토리 메서드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우수한 프로그래머와 설계자라면 해법 영역과 문제 영역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 해법 영역, 문제 영역을 검색해보았으나,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