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변수/함수/클래스의 이름은 존재 이유, 수행 기능, 그리고 사용 방법을 명시 해줘야한다.
기능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문장이나 문단처럼 읽히는 코드, 아니면 적어도 표나 자료 구조처럼 읽힌는 코드를 짜는데 집중해야 된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 04.24
오늘 읽은 범위
추천사 ~ 2장.의미 있는 이름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클래스의 이름은 명사, 함수의 이름은 동사가 좋다.
예시 중에 맥락을 독자가 추측하게 하지 않기 위해 클래스를 생성해서 맥락을 보완한 코드가 있었다. 처음 본 코드의 내용은 크게 파악하지 못했지만 큰 잘못은 없다고 생각했는데 클래스로 나누어서 쪼개고 나니 훨씬 가독성이 좋아졌음을 느꼈다. 클래스의 힘을 느끼게 해준 예제.
긴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지 마라. 뜻을 전달하는데 필요하다면, 그리고 검색하기 쉬운 이름으로 바꿔준다면 긴 이름이 더 좋을수도 있다. 또한 const를 붙여 상수에 이름을 붙여주면 무엇을 뜻하는지도 이해하기 쉽고 검색하기도 좋다.
추상적인 개념 하나에 단어 하나를 선택해 이를 고수한다. 내 코드가 많이 겪는 문제인 것 같다. 하나의 개념에는 하나의 단어를 선택해서 remove면 erase라는 말을 안쓰는 식으로 간단하게 코딩하려고 노력해야겠다.
인코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해야되는 상황이 나타나면 하위 개념(구현 클래스)에 하는 것을 추천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책에서 말한 것처럼 급하게 짜기 위해서 컴파일러만 통과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언젠가는 큰 화를 입을 것을 느낀다. 독자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주의"를 기울여서 짜는 연습을 해야겠다. 반복적으로 말했듯이 정성을 들여서 짜는 것이 오히려 빠르게 가는 길.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예시>
생성자를 중복정의할 때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정적 팩토리가 뭔지 모름..
접근자(accessor), 변경자(mutator), 조건자(predicate)는 javabean 표준에 따라 값 앞에 get, set, is를 붙인다. -> javabean을 봐봐야겠다.
</예시>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예시>
00님의 TIL (url 링크)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