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TIL] IT 잡학사전 episode 16-21 assignment 6

#book_club
2년 전
642

오늘 TIL 3줄 요약

  • 에이젝스는 웹사이트에서 어떤 내용을 업뎅이트하면 새로 고침으로 확인하지 않고 업데이트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 쿠키는 웹 기술과 관련이 있음.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브라우저를 통해서 컴퓨터에 보관하는 기록물이 쿠키이다.

  • 풀스텍이란 프런트 엔드, 백엔드 그리고 데브옵스를 포함한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18

오늘 읽은 범위

Episode 16-21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Episode 16

  •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과거 사람들이 좋아하는 기술을 가장 빨리 지원했던 브라우저였다.

  • 에이젝스는 웹사이트에서 어떤 내용을 업뎅이트하면 새로 고침으로 확인하지 않고 업데이트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개발 영역을 프런트엔드라고 함.

  • 웹 브라우저의 웹 개발 핵심 프로그램을 "브라우저 엔진" 또는 "렌더링 엔진"이라고 한다.

  • 파이어폭스에는 게코, 사파리에는 웹킷이라는 엔진이 사용되며 크롬은 블링크라는 엔진을 사용한다.

Episode 17

  • 쿠키는 웹 기술과 관련이 있음.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브라우저를 통해서 컴퓨터에 보관하는 기록물이 쿠키이다.

  • HTTP는 인터넷에서 사용자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 받기를 하기 위한 일종의 규칙이다.

  • 쿠키는 도메인 1개에만 한정하고 자동으로 보낸다.

Episode 18

  • 프론트 엔드 개발자는 관련기술이 엄청 빨리 발전해서 공부하기가 힘들어서 자바스크립트 fatigue와 같은 현상이 발생함.

  • 프론트 앤드의 장점은 입력한 내용을 바로바로 볼 수 있다는데 있다.

  • 백 엔드 개발자는 개발환경이 훨씬 안정적이다. 또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많다.

  • 백 엔드의 단점은 사용자와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Episode 19

  • 서버는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저장소와 메모리 크기는 어마어마하다.

  • 서버는 웹 주소를 입력하기를 기다렸다가 해당 주소가 입력되면 그에 맞는 웹페이지를 꺼내서 보여주는 코드이다.

Episode 20

  • 풀스텍이란 프런트 엔드, 백엔드 그리고 데브옵스를 포함한다.

  • 풀스택 개발자는 1인 스타트업을 만들 수 있고 기획도 할 줄 알아야한다.

  • 풀스택은 모든 영역을 개발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할 수 있는 것과 하는 것은 다르다.

Episode 21

  • 서버리스는 서버 없음이 아니라 우리가 직접 관리 안한다는 서버를 의미함.

  • 서버리스에선 함수들이 잠을 자고 있어서 깨울때 작동한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프론트 엔드, 백엔드 등의 개념에 대해 막연하게 알던 부분을 좀더 명확하게 알수 있어서 좋았다. 현재 하는 업무가 프런트 엔드 측보다 백엔드에 가깝다는 사실도 알수 있었다. 데브 옵스는 많이 들어봤지만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다가 이번에 알게 되어서 기쁘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서버리스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서버리스를 선택하는 이유는 관리 측면에 매력이 커서 일까요?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43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04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579

정리가 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