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코드관리의 중요성
SQL과 NoSQL
버전 관리하기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22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0-34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ep 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레거시 시스템이란, 오랜 전에 개발된 시스템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에 완벽하게 책임을 져야한다.
프로그램은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 만들어놓고 방치한다면 그 코드는 나중에 문제가 될 수도 있고, 점점 고치기 어려워진다
ep 31. 데이터와 단짝 친구, SQL
SQL은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질문이나 문의를 하기 위해 어떤 구조를 가진 언어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만 할 뿐이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SQL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을 하기위해서는 DBMS를 거쳐야한다
DBMS의 종류 : MySQL, PostgreSQL, Oracle, MariaDB 등
SQL 기본 문법
개발자에게는 ORM이라는 도구가 있어서 SQL기본문법을 공부하지 않게되는데, 그래도 공부를 해야 근본적인 해결을 할 수 있게된다
ep 32. NoSQL이 뭐죠?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ex. 몽고디비)
데이터 형식이 매우 자유롭다
데이터를 JSON 도큐먼트 형태로 저장한다
키값 데이터베이스(ex. 카산드라디비, 다이나모디비)
카산드라디비의 특징은 열이 넓다
읽고 쓰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거나 읽어야한다면 카산드라디비를 쓰는 것은 좋은 선택이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노드로 관계를 표현한다
NoSQL VS SQL
기술에는 좋고 나쁨이 없기때문에 프로젝트의 용도에 맞게 쓰면 된다
ep 33. 깃 & 깃허브, 똑같은 거냐고?
깃은 파일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ep 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
가장 널리 쓰이는 버전 표기 방식 : 시맨틱 버저닝(Sem Ver)
시맨틱 버저닝은 숫자 3개로 버전을 표시한다
첫번째 숫자 : 프로그램에 엄청나게 큰 변화가 일어났을 경우 버전을 올린다
중간 숫자 : 마이너한 업데이트를 의미한다
마지막 숫자 : 패치나 버그 수정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