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노개북 IT 잡학사전 ep 11-15
by greb
#book_club
2년 전
598
1


오늘
TIL 3 요약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것이다.

  • API는 프로그램끼리 서로 소통하도록 도와준다.

  • 플래시는 옛날에는 널리 쓰였지만, 현재는 웹의 발전으로 인해 없어졌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2.21

오늘 읽은 범위

Ep 11-1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공통점을 먼저 이야기해 볼까? 두 녀석은 모두 누군가 미리 작성해 놓은 코드이고, 우리의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주는 도구라는 점이 같아.

이 둘의 차이점은 아주 간단해. ‘ 누가 누구를 제어하는가?’ 이 질문을 떠올리면 돼. 만약 여러분이 어떤 도구에 대해서 모든 결정을 다 내리고 있다면? 그 도구는 라이브러리야. 반대로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그건 프레임워크지.

만약 여러분이 부트스트랩을 사용하다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언제든 다른 라이브러리로대체해도 돼. 그리고 라이브러리를 교체한다고 해서 프로젝트의 모든 것이 와르르 무너지지 않아.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부분만 고치면 되거든.

하지만 프레임워크는 라이브러리와 달라! 우리는 프레임워크를 부를 수 없어. 프레임워크가 우리를 부르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코드를 작성할 때는 프레임워크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는 거야. 프레임워크에는 코딩 규칙, 파일 저장 규칙 등이 있거든. 우리는 이 규칙에 따라 개발해야 해.

장고로 개발하던 프로젝트를 스프링으로 바꾸고 싶다면? 모든 것을 교체해야 해. 폴더 이름, 파일 구성, 코드까지 모두 다! P. 70 - 73

키보드는 컴퓨터에 무언가를 입력할 때 사용하는 도구지? 쉽게 말해 키보드는 컴퓨터와 여러분이 대화할 때 다리 역할을 해주지. P. 78

<사진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사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와 같은 동작이이뤄져야 할 거야. 그런데 화면은 버튼을 보여 주는 역할만 하고,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저장하는 역할만 해 . 즉, 버튼이 눌러지면 ‘어디어디 데이터베이스를 찾아가서 어떻게 저장하라’와 같은 연결 역할을 해줄 녀석이 필요한 거지. 그게 바로 API야. P. 79

그런데 도메인은 수백만 개가 넘어. 그래서 도메인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이 있어. 쉽게말해서 전화번호부를 관리하는 전화번호부가 있다고 생각하면 돼.

이런 서브 전화번호부를 레지스트리라고 해.

그런데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기업은 도메인을 만드는 역할을 할 뿐 도메인을 직접 판매하진 않아.

리셀러가 필요한 이유는 도메인을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이야. P. 87-88

매크로미디어는 이 프로그램의 이름을 플래시로 바꾸지. 이때 매크로미디어가 이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발견해. 바로 플래시가 애니메이션을 브래우저에 띄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이었어. 그래서 플레스 플레이어 플러그인이 생긴 거야. P.92

그 당시 스티브 잡스는 html5, css3가 제시하는 자유로운 웹 표준을 믿었고, 그런 웹에 대한 신념이 있었어. 그런데 단 한 회사가 모든 것을 통제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다니! 그러면안된다고 생각했던 거야. P. 94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어디선가 들어 본 것 같은데 사실 잘 몰랐던 것들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없었음!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