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데이터를 보기 좋고 찾기 좋게 보관하기 위해 자료구조를 공부해야 한다.
알고리즘의 속도는 Big-O (빅오)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진 검색 알고리즘은 큰 배열을 다룰 때 효과적, 하지만 데이터를 정렬한 상태로 관리해야 한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11.16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라고?
에피소드 23 배열이 뭐죠?
에피소드 24 알고리즘의 속도는 어떻게 표현할까?
에피소드 25 검색 알고리즘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알고리즘 : 컴퓨터에게 내리는 지시 사항을 나열한 것
자료구조 : 데이터를 보기 좋게, 찾기 좋게 보관하는 방법
휘발성 메모리인 램에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변수, 함수 등)가 저장된다.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와 상관없이 데이터에 접근하는 속도가 일정하고 안정되고 빠르다.
배열은 램에 줄줄이 이어진 형태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속도 비교 → 배열을 읽는 속도 > 배열에서 검색하는 속도 > 배열에 삽입 삭제하는 속도
Big-O (빅오) 표기법
- 알고리즘의 속도를 표현한다
- 알고리즘으로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절차 수 N을 활용해서 O(N), O(log N) 과 같이 표현한다.
선형 검색 알고리즘
배열의 처음부터 검색을 시작하기 때문에 배열 길이가 길어질수록 검색 시간이 길어진다.
이진 검색 알고리즘
거대한 배열을 다룰 때 효과적이며 항상 데이터 정렬이 되어있어야 한다.
배열의 중앙에서 검색을 시작하기 때문에 배열 길이가 길어져도 검색 시간이 확 커지지 않는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되게 어렵고 큰 벽 같은 느낌이 있었는데 독서를 통해 개념도 이해하고 조금 더 친숙해진 것 같다.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부분을 한 번 더 읽어봐야겠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X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과제2: 나의 최애 북틸
meongjinki91님의 TIL
간단명료한 요약이 눈에 확 들어온다.
각 에피소드 별로 상세한 기록이 인상적이다.
이미지와 함께 기록되어 있어 책 요약본을 읽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