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깃허브 프로필 README 파일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 조금 복잡하지만 한 번 해 놓으면 넘나 유용할 듯!
🍎 애플이 뽑은 2023 올해의 앱은? ChatGPT가 후보에도 없었던 게 의외군 🙃
👻 구글이 큰 관심을 모았던 제미나이 시연 영상이 일부 조작되었음을 인정했음. 출력 속도를 높이기 위해 편집되었을 뿐 아니라, AI가 음성에 반응하는 부분도 이후에 추가된 것이라고...
🍔 맥도날드도 내년부터 '더 신선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Google AI를 도입한다고 함. 어떤 방식으로 도울지 매우 궁금하다 🤔
🤗 Hugging Face의 CEO인 클레멘트 델랑이 예측하는 2024년 AI의 향방은...! AI의 금전적. 환경적 비용에 대해 더 많은 논의가 있을 거란 내용도 넘나 흥미롭군
💙 도입된 지 벌써 5년이라고? 👀 React18에서 크게 업그레이드된 Suspense에 대한 가이드.
2023년 개발자 생태계 현황 by JetBrains⤴️
어느덧 12월의 절반도 흘러갔다...! 😱 2023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개발자 2023 리포트에 흥미로운 내용이 많아 가져와 봤음. JetBrains에서 전 세계 약 25,000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인데, 올해는 AI 섹션이 추가되었음! 아무래도 2023년의 가장 큰 변화는 ChatGPT와 Copilot을 포함한 AI의 사용이 일상이 되었다는 게 아닐까. 번아웃에 대한 내용도 넘나 흥미로웠는데, 주로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
개발자의 무려 77%가 ChatGPT를 사용한다고 응답했으며, 약 46%의 개발자가 GitHub Copilot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사용 방법으로는 코드 생성 요청이 60%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코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거나 버그를 수정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고 응답했슴. 하지만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작업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는데, 주로 문제 원인 파악이나 초안을 짜는데 AI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흥미로운 섹션 중 하나였는데, 무려 73%의 개발자가 번아웃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번아웃을 경험한 개발자와 그렇지 않은 개발자의 큰 차이점은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문에서 드러났는데, 번아웃을 경험한 개발자는 자기관리 및 시간 분배가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그렇지 않은 개발자는 사용하는 IDE의 기능같이 정신 건강과 관련이 적은 부분을 언급했음. 또한 번아웃을 경험한 개발자는 수면 측정이나 생체 리듬 모니터링에도 더 큰 관심을 보였다고...!
(전문은 뉴스레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