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큐와 스택은 추상 자료구조이다.
배열은 맨앞의 자료를 삭제하는것이 가장 어렵다
Big-O는 실무용 지식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 01. 11
오늘 읽은 범위
Episode 22-2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큐와 스택은 추상 자료구조이다.
큐와 스택을 구현하고 활용은 많이 해봤지만
이걸 왜 내가 직접 구현하는지에 대해서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다.
배열, 해시테이블(Map) 등은 기본 자료구조로 제공되지만,
큐와 스택은 왜 구현해서 사용해야할까.
큐 스택 이외에도 기본 자료구조를 응용하고 필요 메서드를 정의해서
나도모르게 나만의 추상 자료구조를 만들어쓰는 일도 왕왕 있었던거같다.
기술 학습에 지칠때에는 나만의 유용한 자료구조에대한 명세를 정의하고,
명명해보는것도 재밌을거같다.
배열은 맨앞의 자료를 삭제하는것이 가장어렵다
배열과 선형리스트의 차이점 중 하나로
중간부분의 데이터를 삭제할때, 배열의 경우가 필요작업량이 훨씬 많다는것은 알고있었다.
선형리스트는 약 2~4개의 포인터 주소를 바꾸는것만으로 중간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것이 가능하지만, 배열의경우, 절반에 해당하는 성분의 위치를 전부 옮겨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열의 데이터 삽입/ 삭제 방향에는 언제나 뒤에서 진행하는 작업이 빠르다는것은 처음알았다.
Big-O는 실무용 지식이다.
Big-O에 대해서는 처음에 코딩 테스트와 별개로 면접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코딩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성능도 보기 시작하는 문제를 풀기시작하자
빅 오를 고려하지 않은 코드는 통과하지 못하게되었다.
하지만 문제풀이를 할때가아니라 실무를 볼때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지식인것같다.
이번에 정한 나의 최애 TIL
Io님의 게시물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9015
선정이유
나는 보통 개념에 대한글이나 내생각을 길게 늘어놓는데,
이분은 단편적인 지식을 담은 문장을 많이 남겨놓으신점이 마음에 들었다.
goedel님의 게시물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9018
선정이유
항상 기술적인내용을 조금 자세히 풀어서 기록하신다고 생각하셔서
과제를 보자마자 이분을 떠올렸다. 그런데 이분도 나를 지목해주셨기에 ㅋㅋㅋㅋㅋ
더욱 기분좋게 최애 TIL로 선정할 수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