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오늘 TIL 3줄 요약
인터넷 익스플러러는 한때는 시장 점유율이 95%이었지만, 느린 엔진 업데이트 탓에 다른 브라우저들에 밀려서 사라졌다.
쿠키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서버에 전송되어서 서버의 기억을 되살리는 역할을 한다.
서버란 항상 켜져있는 컴퓨터이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있고 접속 요청에 응답하는 컴퓨터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4. 03. 20
오늘 읽은 범위
EP 16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EP 17 : 아, 쿠키가 먹는게 아니라고요?
EP 18 : 프런트엔드, 백엔드?
EP 19 :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
EP 20 : 슈퍼 개발자만 할 수 있다, 풀스택?
EP 21 :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인터넷 익스플로러
-CSS를 최초로 적용한 웹브라우저
-사람들이 좋아하는 기술을 빨리 지원하는 프로그램
-한때는 시장 점유율이 95%
-브라우저에는 '엔진'이 있다. 엔진의 성능이 브라우저의 성능을 결정
-느린 엔진 업데이트 탓에 다른 브라우저들에 밀려서 사라졌다.
쿠키
- 어떤 웹사이트에 방문했을떄 브라우저를 통해 컴퓨터에 보관하는 기록물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서버에 전송되어서 서버의 기억을 되살리는 역할
-HTTP의 기억력을 보완해주는 쿠키는 편의 보안등의 이유로 몇가지 규칙을 따라야함
1.쿠키는 도메인 1개에만 한정
2.쿠키는 자동으로 보낸다.
3. 쿠키는 컴퓨터에 자동으로저장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사용자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칙
ex) 웹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치고 기다리면 화면이 나오는 모든 과정은 HTTP의 규칙 아래 진행됨.
-우리와 서버는 항상 연결되어있지않다.
브라우저 익스텐션
-웹 브라우저에 추가로 장착할 수있는 도구
프론트엔드
-사용자가 보는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함
-기술의 변화속도가 빠르다.
-작업한 것을 바로볼수있다.
-HCJ, React, Jquery, Vue.js
백엔드
-데이버베이스, 라우터, 계정생성, 동영상업로드, 댓글저장
-개발환경이 안정적이다.
-Django, Ruby onRails, Nodejs Python, JAVA, PHP, JS, C#
-기술선택지가 다양하다.
서버
- 모니터가 없는 컴퓨터 혹은 하나
- 서버의 크기는 저장소와 메모리 모두 크다.
-주소가 입력되면 그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꺼내서 보여준다.
-항상 켜져있는 컴퓨터이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있고 접속요청에 응답하는 컴퓨터
풀스택
-프런트엔드, 백엔드, 데브옵스를 포함
-데브옵스 :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영의 합성어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정보기술전문가 사이에 소통,협업,통합을 강조하는 개발환경이나 문화를 말함
서버리스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EC2 서비스 = 서버를 아마존이 대신 운영해주는 서비스
-cold start : 함수는 평소에 잠을 자고 있기에 AWS(Amazon Web Service)가 함수를 깨우려면 시간이 필요하기에 중요한 서비스라면 사용x (때로는 잠들지않게 설정가능)
-서버 제공자에게 지나치게 의존
=> 편리한만큼 함수의 형태가 서비스에 딱 맞아 떨어지는 형태라 다른회사로 서비스 옮기기 힘듦
-서버를 준비할때는 설정작업이 중요한데, 서버리스는 설정작업이 적은편
=> 서버를 엄청 빠르고 쉽게 구축하고 서비스 출시가능, 코드에 집중해서 작업가능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우오오오오옹 검은 건 글씨요 흰 건 종이로다.... 뭔가 전체적으로 아직 갈피가 안 잡혀서
몇번 더 읽어봐야할거같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lionel님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9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