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개발자 99% 커뮤니티에서 수다 떨어요!

← Go back

[IT 5분 잡학사전] TIL EP16~21

by ek
#book_club
2년 전
688

오늘 TIL 3줄 요약

  • 우리를 기억하지 못하는 HTTP, 서버의 기억을 되살려주는 쿠키

  • 서버는 그냥 컴퓨터다 #모니터_없는_컴퓨터 #24시간_가동 #저장소_메모리_엄청_큼

  • 우리 곁을 떠난 서버, 서버리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01. 18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6~21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브라우저의 엔진이 HTML, CSS,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기술을 얼마나 지원하느냐에 따라 브라우저의 성능이 결정된다. 익스플로러는 따라가지 못하고 결국 낙오.

  • 쿠키 규칙 1)쿠키는 도메인 1개에만 한정한다. 2) 쿠키는 자동으로 보낸다. 3) 쿠키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 프런트엔드 기술은 정말 빨리 발전해서 개발자가 공부해야 할 내용이 매우 많다. HCJ가 싫어도 반드시 사용해야한다. 장점은 코드를 입력하면 결과물을 바로 확인 할 수 있어서 즐겁게 일할 수 있다.

  • 백엔드의 장점은 개발 환경의 변화가 크지 않고 안정적이고 기술 선택 옵션이 많다(자바, 루비, 장고, 파이썬 등) 단점은 사용자와 거리가 멀어서 흥미가 떨어진다.

  • 풀스텍 = 프런트엔드+백엔드+데브옵스. 프런트엔드, 백엔드 개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버를 고르고, 설정하고, 서버에 소프트웨어도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 설정도 하고 보안도 신경써야 하고.. 암튼 할 것이 엄청 많다. 🤑

  • 서버는 그냥 컴퓨터다. 모니터가 1개 이거나 없고,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저장소와 메모리 크기가 어마어마하게 크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기를 기다렸다가 해당 주소가 입력되면 그에 맞는 웹페이지를 꺼내서 보여준다.(접속 요청에 응답)

  • 서버리스 : 서버 제공 뿐만아니라 소프트웨어 관리까지 서비스해준다. 대신 백엔드 코드를 작은 함수 단위로 쪼개서 서버에 올려야 한다. 보통 서버는 24시간 깨어있어서 요청에 응답할 준비를 해아 하지만 서버리스에서는 함수들이 잠을 자고 있고 필요할 때만 해당 함수를 깨워서 요청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전력 낭비를 막고, 하드웨어를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대신 함수가 잠에서 깰 때 응답시간이 더 필요한 단점이 있고 함수의 형태가 서버리스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옮기기가 쉽지 않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우리가 숨쉬듯이 이용하는 인터넷을 브라우저에서 이용하기까지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는지 큰 그림이 그려볼 수 있었다.

  • AWS는 말로만 들어봤는데 서버리스를 알고나니 어떤 서비스 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 점점 어려워진다.. 정신 바짝 차리자!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내용 정리가 잘 되어있고 생각과 고민도 엿볼수 있어서 좋았던 글입니다.